스티브 잡스는 컨설팅을 싫어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컨설팅 회사가 기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하는 일반적인 해결책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기업이 자신만의 독특한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컨설팅 회사의 일반적인 해결책에 의존해서는 안된다고 믿었다. 컨설팅 회사는 제안을 하고 실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였다. 실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책임이 없다는 의미이다.
스티브 잡스가 컨설팅을 싫어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 시장조사에 대한 반대
- 스티브 잡스는 시장조사를 극도로 싫어했다. 그는 고객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모르며, 기업은 고객이 원하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시장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가 기업의 창의성을 제한한다고 생각했다.
- 애플이 처음 맥킨토시를 출시할 때 시장조사를 하지 않았다. 그는 시장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가 맥킨토시의 성공을 방해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결과적으로 맥킨토시는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공을 거두었다.
- 제품 디자인에 대한 개입
- 스티브 잡스는 제품 디자인에 대한 컨설팅 회사의 개입을 싫어했다. 그는 제품 디자인은 기업의 창의성을 발휘해야 하는 영역이며, 컨설팅 회사의 개입은 기업의 창의성을 제한한다고 생각했다.
- 애플이 처음 아이폰을 출시할 때 컨설팅 회사의 개입을 거부했다. 그는 아이폰 디자인은 애플만의 독특한 디자인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결과적으로 아이폰은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GLOBANT는 아르헨티나에 본사를 둔 글로벌 IT 컨설팅 및 기술 서비스 기업이다. 기존 컨설팅 회사를 디스 하는 영상을 올리면서 자신들의 차별성을 강조했다. GLOBANT는 기존 컨설팅 회사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 기존 컨설팅 회사는 고객의 니즈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고객의 문제는 각 기업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인 해결책은 효과적이지 않다.
- 고객의 변화를 이끌지 못한다.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기에 고객의 성공을 위한 역량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위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차별성을 강조한다.
- 고객의 니즈에 맞춘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고객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직접 고객의 목소리를 듣는다.
- 고객의 변화를 이끄는 파트너가 된다. 고객의 성공을 위해 고객의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의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스티브 잡스가 GLOBANT를 알았다면 일을 맡겼을까?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필이 노란색인 이유 (0) | 2023.11.27 |
---|---|
연필의 역사 (0) | 2023.11.27 |
60/40 규칙 (0) | 2023.11.24 |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안 사는 방법이 있을까? (0) | 2023.11.05 |
서점 (0) | 2023.10.29 |